본문 바로가기

조감도(토목,광역,건축)/건축

(7)
대구경기장조감도기법중 겨울설경느낌 만들기 대구에 소재한 경기장에 설경분위기를 연출하는것은 눈이 잘 오지않는 대구에서 맞지않는 느낌일수있으므로 이런분위기는 평창동계올림핑을 개최하는 경기장에 느낌을 만들어보는것이 맞을듯 합니다. 아래경기장은 설경분위기를 연출하였는데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습니다. 조감도에서 설경분위기는 대부분 재질에 의해 만들어지고 눈덮힌나무에의해 셜경조감도의 분위기를 만든다고 생각하면 될듯 합니다. 아래조감도는 디테일한 작업은 하지않은 작업물로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대구조감도중 산업진흥원조감도작업 대구지역 건축조감도입니다. 작업공기는 한달정도 소요되었는데 도면과 내부의 면적을 모두 정확히 계산한 기본설계시 납품한 작업입니다.
부산조감도작업은 서울에서 부산지역의 조감도작업도 서울지역의 cg업체들이 많이 하고있다. 지방에까지 영업을 내려와서PT까지 한다고 이야기 들었다. 경제력이 수도권에 다뺏긴 마당에 남아있는것이 뭐 있다고 빨대를 꼽으러 내려오는지 모르겠다. 조감도수준이 수도권이 높다지만 식당이나 떡뽁이집까지 대기업이 잡식하는 이마당에 뭐 이상한일이 아니라 생각할지모르지만 지방에도 일이 있어야 사람이 살거아닌가? 거두절미하고 지방이 가격이 저렴하니까 수도권업체들은 경쟁이 안된다 그러니 지방에는 연락하지말고 거래 끊어달라고 정중히 부탁하께 안그럼 실력으로 눌러버린다?^^; 다른방법을 준비하고있으니 수도권업체.. 단단히 긴장하고 있거라~ 위 이미지는 장하게도 지방건설업체에서 수도권 한가운데 삼성동의 오피스텔설계를 가져와서 일하고 있었는데 우리에게 연락이 ..
부산조감도의 발전 부산조감도를 보면 산위에 많은 건물들이 있어서 막말로 뽀대가 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부산지역의 이런 특징을 잘 살려서 조감도 작업을 해본다면 충분히 잘 살릴수 있으리라 생각해본다. 가령 부산뿐 아니라 경남이나 가까운 전남같은곳도 그 동네만의 특색이 있으므로 그동네의 색감을 두가지이상 잡아내고 대비되는 색상두가지를 적절히 섞어 조감도 느낌연출시 사용하면 좋은 결과물이 나올수가 있다. 부산지역의 광역조감도를 그린다면 반드시 원경에는 바다를 넣고 근경에는 작은 산지를 붙여서 넣는방법을 추천한다. 아래에는 경남 **지역에 현재 건축되고있는 **아울렛매장이다.
대구상가투시도의 색감 살리기 대구상가투시도는 간판을 어떻게 표현하느냐가 관건인거 같다. 간판디자인을 잘하면 그림이 좀 살아날수 있다는 뜻인데 간판은 시내에 나가보면 예쁜 간판들이 너무나 많다. 최근들어 간판디자인 하는사람들이 좀 줄은듯하던데 그래서그런지 모두 실력가들만 살아남은듯 하다. 대구상가투시도는 색깔이 간판때문에 죽어서는 안되고 간판이 너무 묻힐수는 없지만 너무 안보여도안된다. 적절히 섞어서 표현해주는것이 좋다. 조금은 난잡해 보여도 상가투시도는 부동산하시는분들이 오케이 해야 돈을 받는것이기떄문에 이들이 중점으로보는것들을 잘 두드러지게 그려주면 될것이다. 대구상가투시도와 조감도중 선택하라면 투시도가 낫다고 생각한다. 조감도는 간판이 잘 안보인다. 간판을 살리려면 투시도로... 건물을 살리려면 조감도로 가는것이 맞을듯 하다. ..
대구조감도와 투시도의 제대로된 느낌만들기 대구조감도와 비슷한 투시도작업을 하는데있어 건축물의 느낌을 낸다는것은 포인트를 잡아 그곳을 강조한다는 뜻이다. 광역조감도나, 도시,등 범위가 넓은 조감도는 조금 힘든 작업이 될수있겠지만 아무튼 건축물의 포인트를 잡는다는것은 좀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왜냐면 대구조감도는 범위가 넓어서 어디를 포인트로 주어야 할지를 생각 못할 수 있다는 뜻이다. 위 작업은 건물자체가 포인트이다. 포인트를 잡는다는것은 어느부분을 세부묘사를 한다는것 그부분이 포인트가 될수있다. 눈에 가장 먼저 띄는 부분이 2층 발코니부분인듯 하다. 작업시간은 2일정도 걸렸으며 모델링은 4시간정도 작업하였다. 대구조감도작업물은 아니지만 제주도 팬션의 내부아이소작업이다. 주변을 푸른 빛을 돌게 하고 내부는 노란느낌을 줌으로 좀 더 내부에 시선이..
대구조감도의 느낌잡는법 대구조감도작업시 느낌을 잡기만 하면 모델링이 어설퍼도 색감이 별로 마음에 안들어도 용서받을수 있을정도로 결과물이 나올수있다. 느낌이란 조감도에 있어서 먼저 주간이냐 야간이냐를 결정한 후 포인트를 정해야한다 대구조감도작업시 포인트를 어디를 두고 작업을 할것이냐는 상당히 중요하다. 왜냐면 포인트에 채도높은 컬러를 사용하고 채도높은 컬러를 남발하면 조감도가 촌스러워진다. 광원효과를 주는것은 그보다 더 신중해야 하며 자신없으면 광원효과는 안쓰는것이 좋다. 대구조감도 작업시 광원효과가 자신있으면 그만큼 퀄리티를 올려주는 테크닉은 없다고 볼수 있다. 대구투시도작업시 올려놓은 이미지처럼 자신이 없으면 광원효과는 빼버리는것이 낫다. 괜한 자신감은 클라이언트의 실망을 부른다. 본 투시도는 작업시간이 하루만에 주간 야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