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감도(토목,광역,건축)/광역
조감도에서 토목조감도의 범위와 3D작업의 범위의 정의
민무늬
2016. 1. 28. 16:07
그래서 3d로 작업하되 가능하다면 풀3D라면 더 좋구요.
컴퓨터 사양이 안된다면 최대한 3d작업은 많을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2d포토샵 리터치작업은
고수에게는 빠르고 실감나는작업이 될수있겠지만
2D리터치작업을 주로 하던 세대들은 이제 40대로 접어들었네요.
아마도 손가락이나 허리에 신호가 오시는분들이 많을것입니다.
이제는 풀3d세대에게 바톤을 전달해주는 시기일듯 하군요.
토목조감도는 작업량이 많아 어려울수도 있겠지만
미술전공자만이 토목조감도를 작업해야한다는 개념은
오래전부터 먹히지않는말이라 생각합니다.
저도 미술전공하였지만 토목조감도를 그리는데
어려움이 많아 지형도 모두 3D작업으로 진행할때가 많답니다.
시간이 허락하지않는다면 2D포토샵 합성작업을 진행해야겠지만
그렇지않을경우 3D로 작업하는것이
퀄리티측면에서는 아주 좋은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열심히 토목조감도를 잘그리기 위해
노력하는 민팀장이였습니다.
토목조감도와 넓은지역의
조감도작업의 진정한 프로인 세퍼드에게
견적받아보시고 꼭 사업성공하십시요~